[ 더코리아 - 전남 완도 ] 전라남도는 산림청의 국립난대수목원 대상지로 완도가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
전라남도에 따르면 지난 5 월부터 11 월까지 수목원 전문기관인 신구대학교와 ㈜ 유신이 수행한 ‘ 국립난대수목원 기본구상 및 타당성조사 용역 ’ 에서 완도는 자연조건은 물론 산림식생 , 대상지 확보 , 기반시설 완비 , 지역사회 상생 측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 이와 함께 전라남도 공직자들의 적극적인 대응과 노력도 한 몫 했다는 평이다 .
이번 성과는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후보자 시절이던 지난 2018 년 ‘ 한반도 아열대화의 대응과 싱가포르 가든스 바이 더 베이와 같은 국제적 규모를 갖춘 수목원 조성 ’ 공약을 발표한지 2 년 반만의 쾌거다 .
이번 용역 결과 완도는 종합평점 94 점 , B/C( 경제성분석 ) 0.84, 예상방문객 35 만 명으로 평가돼 사업 타당성을 확보했다 .
국립완도난대수목원은 한반도 최대 ․ 최고의 난대숲과 770 여 종의 자생식물 등 원시 난대 생태숲을 온전히 보전해 ‘ 살아있는 식물박물관 (Living Museum)’ 으로 조성되며 , 4 계절 푸르고 난대 생물자원 및 전문과학 교육도 이뤄질 수 있는 수목원으로 거듭나게 된다 .
부지 규모는 400 ㏊ 로 전시 ․ 관람지구와 서비스 ․ 교육지구 , 보존 ․ 복원지구 , 연구 ․ 지원지구 , 배후지원시설 등 특성화된 5 개 권역으로 구성되며 , 4 계절 전시온실을 비롯 기후연구시설 ( 파이토트론 ), 연구 ․ 교육 ․ 서비스동 , 주제 전시원 , 모노레일 , 방문자센터 등을 구축하는데 총 1 천 872 억 원이 투자된다 .
전라남도는 국립난대수목원의 신속한 조성을 위해 내년 예비타당성 조사와 2022 년 기본계획 수립 , 2023 년 기본 및 실시설계 등이 제때 추진될 수 있도록 산림청과 적극 협력할 방침이다 .
특히 국립완도난대수목원은 전남 그린뉴딜과 블루이코노미 일환으로 추진된다 . 지난해 전남도에서 국립난대수목원 유치 제안을 위해 실시한 타당성조사에서 경제적효과 1.2 조 원 , 고용유발 1 만 7 천여 명으로 나타나 전남 그린뉴딜과 블루이코노미 성공의 주춧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국립난대수목원 대상지로 선정된 완도는 전국에서 가장 큰 3 천 456 ㏊ ( 전국 면적의 35%) 의 난대림이 분포 , 전국 면적의 35% 를 차지하고 있다 .
아울러 완도수목원은 붉가시나무 , 구실잣밤나무 , 황칠나무 등 770 여 종의 난대 식물이 자생하고 있으며 수달 ․ 삵 , 황조롱이 , 북방산개구리 등 법정보호종을 포함한 872 종의 동물도 서식하는 등 난대림 원시생태계를 온전히 가진 지역이다 .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 국립난대수목원 최종 대상지로 완도가 선정된 것을 200 만 도민과 함께 환영한다 ” 며 “ 한반도 아열대화 대응은 물론 국제적인 위상을 갖춘 최고의 난대수목원으로 조성할 것이다 ” 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