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1 (토)

  • 흐림속초16.7℃
  • 구름조금24.8℃
  • 맑음철원24.2℃
  • 맑음동두천25.0℃
  • 맑음파주25.3℃
  • 흐림대관령11.3℃
  • 구름조금춘천24.9℃
  • 맑음백령도17.7℃
  • 흐림북강릉15.5℃
  • 구름많음강릉16.2℃
  • 구름많음동해17.2℃
  • 맑음서울24.5℃
  • 맑음인천21.7℃
  • 구름조금원주24.8℃
  • 흐림울릉도18.0℃
  • 맑음수원22.1℃
  • 흐림영월20.2℃
  • 맑음충주24.6℃
  • 맑음서산22.6℃
  • 흐림울진16.4℃
  • 맑음청주24.6℃
  • 맑음대전24.4℃
  • 맑음추풍령23.4℃
  • 구름조금안동24.6℃
  • 맑음상주25.3℃
  • 흐림포항19.3℃
  • 맑음군산21.3℃
  • 구름조금대구25.7℃
  • 맑음전주23.0℃
  • 구름조금울산20.7℃
  • 구름많음창원24.3℃
  • 맑음광주24.0℃
  • 맑음부산23.1℃
  • 구름조금통영24.6℃
  • 맑음목포21.0℃
  • 맑음여수25.7℃
  • 맑음흑산도19.5℃
  • 구름조금완도24.2℃
  • 맑음고창22.4℃
  • 맑음순천22.7℃
  • 맑음홍성(예)23.4℃
  • 맑음22.7℃
  • 맑음제주22.7℃
  • 맑음고산18.4℃
  • 맑음성산21.7℃
  • 맑음서귀포24.1℃
  • 맑음진주26.5℃
  • 맑음강화21.3℃
  • 맑음양평24.9℃
  • 구름조금이천25.0℃
  • 구름많음인제19.1℃
  • 맑음홍천24.6℃
  • 구름많음태백13.3℃
  • 구름많음정선군21.0℃
  • 구름조금제천23.3℃
  • 맑음보은22.9℃
  • 맑음천안23.1℃
  • 맑음보령21.8℃
  • 맑음부여24.6℃
  • 맑음금산23.8℃
  • 맑음23.7℃
  • 맑음부안21.4℃
  • 구름조금임실22.0℃
  • 맑음정읍22.9℃
  • 구름조금남원23.4℃
  • 구름조금장수20.5℃
  • 맑음고창군22.7℃
  • 맑음영광군21.3℃
  • 구름많음김해시24.5℃
  • 맑음순창군23.9℃
  • 구름많음북창원25.3℃
  • 구름많음양산시24.7℃
  • 맑음보성군25.4℃
  • 구름조금강진군24.4℃
  • 구름조금장흥23.9℃
  • 구름많음해남23.1℃
  • 구름조금고흥25.9℃
  • 구름많음의령군26.8℃
  • 구름조금함양군25.3℃
  • 맑음광양시26.1℃
  • 구름조금진도군21.7℃
  • 구름많음봉화18.7℃
  • 구름많음영주23.3℃
  • 맑음문경24.1℃
  • 흐림청송군20.0℃
  • 흐림영덕17.0℃
  • 구름조금의성25.8℃
  • 맑음구미25.8℃
  • 구름많음영천20.9℃
  • 구름많음경주시21.1℃
  • 맑음거창24.2℃
  • 구름많음합천27.3℃
  • 구름많음밀양26.2℃
  • 맑음산청25.8℃
  • 구름조금거제24.0℃
  • 구름조금남해25.8℃
  • 구름많음24.2℃
기상청 제공
부산시, 세계 상위(TOP)20 진입…세계 지능형(스마트)도시 평가 19위!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부산시, 세계 상위(TOP)20 진입…세계 지능형(스마트)도시 평가 19위!

◈ 영국의 글로벌 컨설팅 기관 지옌사(Z/YEN社), 5월 25일 7회차 세계 지능형센터(글로벌 스마트센터)지수 발표
◈ 부산시, 세계 77개 주요 도시 중 19위에 순위… 세계 상위(TOP) 20 및 아시아 상위(TOP) 3 진입, 국내 1위 쾌거

[더코리아-부산] 부산시가 디지털 중심 경제로의 전환에 성공하며 세계 상위(TOP) 19위, 아시아 상위(TOP) 3위 지능형(스마트)도시로 발돋움했다.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5월 25일 발표된 세계 지능형센터지수(글로벌 스마트센터지수, SCI : Smat Centres Index)* 7회차 평가를 인용하며, 전 세계 주요 도시 77곳 중 디지털 중심 스마트도시 19위에 올랐다고 밝혔다.

 

* 세계 주요 도시의 디지털 중심 스마트도시 경쟁력 순위로, 글로벌 컨설팅 전문기관인 지옌사(Z/Yen社, 영국 런던 소재)가 2020년부터 매년 상․하반기 두 차례 발표 ‣136개의 스마트 관련 통계지표 등 활용

 

2년 전 처음 평가 순위에 이름을 올린 부산은 순위 진입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지속 상승 중인 유일한 도시로, 2021년 6월 62위로 처음 평가 순위에 올라 같은 해 11월 41위, 2022년 5월 27위, 11월 22위의 가파른 기세로 상승하고 있으며, 이번 7회차 평가에서는 19위에 이름을 올리며 세계 상위(글로벌 TOP) 20위 안에 진입했다.

 

특히,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와 홍콩에 이어 3위에 이름을 올려 명실상부 ‘아시아 상위(TOP)3 지능형(스마트)도시’로 발돋움했으며, 지난 발표에 이어 국내 1위에 자리했다.

 

이번에 발표된 지수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세계 금융 중심지인 런던과 뉴욕이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했고, 샌프란시스코가 3위, 취리히가 4위로 뒤를 이었다. 아시아 도시들로는 싱가포르가 6위, 홍콩 10위, 도쿄 22위, 상하이 27위, 서울 28위, 베이징 34위 등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 주요 도시 순위: 런던(1위), 뉴욕(2위), 샌프란시스코(3위), 취리히(4위), 루가노(5위), 싱가포르(6위), 홍콩(10위), 도쿄(22위), 상하이(27위), 서울(28위), 베이징(34위), 방콕(36위), 파리(55위) 등

 

특히, 6대 평가항목 중 4차 산업혁명 및 디지털경제의 핵심이 되는 블록체인, 인공지능, 금융기술(핀테크) 등 첨단기술(technology) 분야의 순위를 보면, 지난해 15위에서 두 계단 상승한 13위로 도약하였고, 금융서비스(financial service) 분야에서는 14위로 진입하여 국제 금융 중심(허브)도시로의 자리매김을 굳건히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수의 3가지 평가관점 중 혁신을 위한 노력을 얼마나 잘 수행하고 있는지를 의미하는 관점인 ‘혁신 수행능력(Delivery Capability)’에서 상위권(6위)으로 도약한 것이 순위 상승에 높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파악된다.

 

※ 지수 평가관점별 순위(부산) : 혁신지원(Innovation Support) 24위, 창의성 강도(Creative Intensity) 22위, 혁신 수행능력(Delivery Capability) 6위

 

아울러, 전 세계 지능형(스마트) 분야 관련 전문가들의 설문조사를 함께 반영한 평판·명성(Reputation)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여 앞으로 세계적 지능형(스마트)도시로의 발전 가능성이 더 높음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처럼 부산이 큰 폭으로 지속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은 박형준 시장 취임 이후 본격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경제정책이 순항 중인 것으로 풀이되며, ‘디지털경제 혁신전략 2030’의 목표*였던 세계 지능형(스마트)도시 20위 진입을 조기 달성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 디지털경제 혁신전략 2030 목표('22.1. 발표) : 2030년까지 ①세계 지능형(스마트)도시 20위 진입 ②디지털 창의인재 2만 명 양성 ③디지털 신산업 매출액 연 20조 원 달성

또한, 부산 경제 전반의 ‘지능화(스마트화)’와 ‘디지털화’를 총괄하는 ‘디지털경제혁신실’을 중심으로, 롯데쇼핑㈜(지능형 물류), 리노공업(주)(반도체 부품), 금양(이차전지), ㈜윈스(사이버보안) 등 첨단기술 기업 유치와 ‘부산디지털혁신아카데미’ 등 다양한 디지털 관련 사업추진 등 미래의 기대감이 직간접적으로 반영되었다는 평가이다.

 

이 밖에도 ▲해운대 센텀2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 본격 추진 ▲부산시 양자 정보기술 생태계 기반 조성 ▲‘부산 빅데이터 혁신센터’ 운영 ▲‘그린 데이터센터집적단지’ 조성 등 다양한 디지털 분야 기반시설(인프라)을 구축 중이며, ▲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 추진 ▲블록체인 특화 연합지구(클러스터) 조성 등 주요 지능형 기획사업(스마트 프로젝트) 등 세계적 디지털금융 중심(허브) 도시 기반을 마련하여 지금의 상승세를 꾸준히 이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취임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는 디지털경제로의 전환이 성공적으로 추진 중이며, 앞으로도 꾸준히 디지털경제 혁신을 이뤄 신산업 육성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부산의 경제체질을 새롭게 바꿔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와 같은 초대형 정책은 물론 15분도시 조성 등 시민의 삶과 밀접한 정책까지 사회 모든 분야에서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여 세계적인 지능형(스마트)도시 부산의 입지를 굳건히 해 나가겠다”고 의지를 전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