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1 (토)

  • 흐림속초16.9℃
  • 흐림17.8℃
  • 흐림철원16.8℃
  • 흐림동두천17.6℃
  • 맑음파주18.2℃
  • 구름많음대관령14.8℃
  • 구름많음춘천17.6℃
  • 구름조금백령도16.2℃
  • 흐림북강릉18.1℃
  • 구름조금강릉19.4℃
  • 구름많음동해19.8℃
  • 구름많음서울18.2℃
  • 구름조금인천18.0℃
  • 흐림원주18.3℃
  • 구름많음울릉도17.2℃
  • 박무수원17.9℃
  • 흐림영월17.2℃
  • 흐림충주17.5℃
  • 구름많음서산17.9℃
  • 구름조금울진20.7℃
  • 흐림청주18.7℃
  • 흐림대전17.7℃
  • 구름조금추풍령17.7℃
  • 구름많음안동18.6℃
  • 구름조금상주18.8℃
  • 구름조금포항21.4℃
  • 구름많음군산17.5℃
  • 구름많음대구21.0℃
  • 박무전주17.4℃
  • 구름많음울산21.0℃
  • 구름많음창원21.5℃
  • 구름많음광주18.2℃
  • 구름많음부산21.4℃
  • 흐림통영20.1℃
  • 구름조금목포18.0℃
  • 구름조금여수19.3℃
  • 구름많음흑산도18.9℃
  • 흐림완도19.5℃
  • 구름많음고창17.3℃
  • 구름조금순천17.9℃
  • 구름많음홍성(예)18.1℃
  • 구름많음17.5℃
  • 흐림제주19.9℃
  • 흐림고산18.0℃
  • 구름많음성산20.3℃
  • 구름많음서귀포20.9℃
  • 구름많음진주19.1℃
  • 맑음강화18.0℃
  • 흐림양평17.8℃
  • 흐림이천19.1℃
  • 흐림인제14.8℃
  • 흐림홍천17.7℃
  • 구름조금태백17.9℃
  • 흐림정선군16.1℃
  • 흐림제천17.1℃
  • 구름많음보은17.8℃
  • 흐림천안17.1℃
  • 흐림보령17.4℃
  • 구름많음부여18.1℃
  • 흐림금산17.0℃
  • 구름많음17.6℃
  • 구름많음부안17.6℃
  • 구름많음임실16.1℃
  • 구름많음정읍17.4℃
  • 구름많음남원16.5℃
  • 구름많음장수15.0℃
  • 구름많음고창군17.2℃
  • 흐림영광군17.1℃
  • 구름많음김해시21.3℃
  • 구름많음순창군17.2℃
  • 구름많음북창원22.4℃
  • 구름많음양산시22.8℃
  • 구름많음보성군19.5℃
  • 구름많음강진군18.9℃
  • 구름많음장흥19.0℃
  • 구름많음해남18.9℃
  • 구름많음고흥19.5℃
  • 구름많음의령군20.5℃
  • 구름많음함양군19.0℃
  • 구름많음광양시20.3℃
  • 구름많음진도군17.9℃
  • 구름조금봉화16.9℃
  • 구름많음영주17.9℃
  • 구름많음문경19.0℃
  • 맑음청송군19.3℃
  • 구름많음영덕20.3℃
  • 구름많음의성18.7℃
  • 구름많음구미20.5℃
  • 구름많음영천21.2℃
  • 구름조금경주시21.7℃
  • 구름많음거창17.9℃
  • 구름많음합천19.9℃
  • 구름많음밀양20.5℃
  • 구름많음산청19.7℃
  • 구름많음거제20.5℃
  • 구름많음남해20.2℃
  • 구름많음21.4℃
기상청 제공
광양시, 105주년 3·1절 기리며 광양역사여행 어때요?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광양시, 105주년 3·1절 기리며 광양역사여행 어때요?

광양역사문화관, 남부학술림 관사, 매천황현생가, 윤동주 유고 보존 정병욱 가옥 등

[더코리아-전남 광양] 광양시가 105주년 3·1절을 맞아 일제강점기라는 잊지 말아야 할 역사의 흔적과 애국애족의 숭고한 정신을 찾아 떠나는 광양역사여행을 제안해 주목받고 있다.

 

광양에는 광양역사문화관, 서울대학교 남부학술림 관사 등 일제 강제 점령의 상흔이 고스란히 새겨진 문화유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또한 경술국치에 죽음으로 항거한 매천 황현의 생가, 독립운동 혐의로 형무소에서 생을 마감한 윤동주의 유고를 지켜낸 정병욱 가옥 등 시대 정신이 살아 숨 쉬는 공간이 많다.

 

광양역사문화관(등록문화재 제444호)은 1943년 건립돼 한국전쟁 화재 후 개보수를 거쳐 1968년 2층을 증축한 광양군청사를 재생한 곳으로 광양의 켜를 층층이 담고 있다.

 

일제강점기 전형적인 관공서 양식으로 건립됐으며 조선시대 이방을 비롯해 육방이 업무를 보았던 작청에 건립돼 건축사적 가치와 역사성 및 장소성을 두루 지녔다.

 

광양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곳으로 구석기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광양의 역사, 광양 4대 산성, 의병활동, 건축물 등 광양의 문화와 인물 등을 파노라마로 보여준다.

 

역사문화관 내 기획전시실에서는 광양 3·1 만세운동을 이끌었던 금호 김상후 선생의 유품 전시회가 3월 8일까지 열린다.

 

문화관 앞마당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인권과 명예회복, 한반도 평화를 염원하는 평화의 소녀상이 맨발로 평화의 상징인 비둘기를 두 손에 든 모습으로 서 있다.

 

인근 서울대학교 남부학술림 관사(등록문화재 제223호)는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 남부연습림 내 직원 관사로 이달 초 105년 만에 빗장을 열었다.

 

2동의 건물이 나란히 배치된 관사는 벽돌, 회벽 등으로 벽을 마감했으며 중-복도를 중심으로 방이 양쪽에 배치되는 등 일본 주택의 전형적인 공간 구성 양식을 보여준다.

 

관사 개방 기념특별전으로 이경모 선생의 생애와 작품을 선보이는 ‘백암, 이경모 사진가 기록전'이 열려 4월 7일까지 방문객을 맞는다.

 

1926년 광양에서 태어난 이경모 선생은 광주일보 전신인 호남신문사 사진부장으로 재직하며 한국 근현대사 격동기 현장 등을 생생하게 사진으로 남긴 기록사진의 대가이다.

 

광양 봉강 석사리에는 경술국치에 통분해 절명시 4수를 남기고 결연히 순절한 매천 황현의 생가와 그의 우국정신을 기리는 매천역사공원이 있다.

 

조선의 마지막 선비 매천은 2,500여 수의 시를 남긴 탁월한 문장가이자 47년간의 역사를 꼼꼼히 기록한 역사가로 매천야록, 오하기문, 절명시첩, 유묵․자료첩 등과 문방구류, 생활유물 등이 항일 독립 문화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됐다.

 

매천이 나고 자란 생가는 우물과 아담한 정자를 갖춘 단아한 초가집으로, 당시 최고 초상화가였던 채용신이 그린 매천의 초상, 절명시 등을 만날 수 있다.

 

매천역사공원에는 매천의 묘역, 붓과 책을 형상화한 기념비, 영모재, 문병란 시인의 ‘매천송’ 시비 등이 조성돼 있어 매천을 추모하며 거닐기에 좋다.

 

진월면 망덕포구에는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민족시인 윤동주의 육필시고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보존한 ‘윤동주 유고 보존 정병욱 가옥(등록문화재 제341호)’이 있다.

 

윤동주는 연희전문 졸업 기념으로 출간을 꿈꾸며 육필로 쓴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3부를 엮어 이양하 지도교수와 아끼던 후배 정병욱에게 줬으나 우리글로 쓴 그의 시들은 끝내 세상의 빛을 보지 못했다.

 

1943년 독립운동 혐의로 수감된 윤동주는 1945년 2월 이국의 형무소에서 순국했지만 육필 시고 3부 중 유일하게 정병욱 가옥에서 보존된 유고는 1948년 1월 마침내 출간돼 윤동주를 시인으로 부활시켰다.

 

광양 망덕포구의 정병욱 가옥에는 육필시고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꼭꼭 숨겨 둔 당시 상황이 재현되어 있고, 인근 ‘윤동주 시 정원’에는 유고 시집에 수록된 31편의 시가 시비에 또렷이 아로새겨져 있다.

 

또한, 망덕포구와 배알도 섬 정원을 잇는 해상보도교 명칭이 윤동주의 대표작 ‘별 헤는 밤’을 모티브로 ‘별헤는다리’로 명명되는 등 윤동주는 광양 곳곳에 깊숙이 스며들어 있다.

 

김성수 관광과장은 “105주년을 맞는 올 3·1절에는 새로운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는 일제강점기의 상흔이 남겨진 광양의 근대건축물들과 우국지사 매천황현,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민족시인 윤동주의 정신을 만날 수 있는 광양역사여행을 계획해 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광양시, 105주년 3·1절 기리며 광양역사여행 어때요 - 관광과(광양역사문화관).jpg
광양역사문화관
광양시, 105주년 3·1절 기리며 광양역사여행 어때요 - 관광과(서울대학교 남부학술림 관사).jpg
서울대학교 남부학술림 관사
광양시, 105주년 3·1절 기리며 광양역사여행 어때요 - 관광과(매천황현생가).jpg
광양 봉강면 석사리 ‘매천황현생가’
광양시, 105주년 3·1절 기리며 광양역사여행 어때요 - 관광과(정병욱 가옥).jpg
윤동주의 친필 유고를 보존한 망덕포구의 정병욱 가옥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